안녕하세요, 여러분~ 리또입니다!
주저리주저리 하는 지체 없이 바로 본론으로 GoGoGo~!!
제가 바로 전 포스트에서 중국어를 발음하기 위해서는 '성모+운모+성조'가 결합해야 된다고 했죠? :)
잘 기억해주시고! 오늘은 그중에서도 '성모'에 대해 공부해 볼게요^.^
이전 포스트에서 중국어의 성모는 22개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씀드렸어요.
좀 더 자세히 말씀 드리자면 21개의 성모와 1개의 영성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(*)영성모란, a, e, i, o, u, ü 등의 '모음'으로 시작되는 성모예요!
성모는 '음절 시작 부분의 자음'이라고 정의할 수 있어요.
예를 들어, 家 자는 jiā라고 발음이 되는데, 여기서 j가 성모가 되는 것이죠.
성모는 발음 부위에 따라, 발음 방법(성대의 진동 여부, 기류의 강약 등등)에 따라 다르게 분류되는데요.
우리가 중요시 보아야 할 부분은 '발음 부위에 따라' 분류하는 것입니다!
발음 방법에 따른 분류는.. 알면 좋겠지만, 너무나 학술적이랄까요? 허허..
그럼, 지금부터 발음 부위에 따른 성모의 분류에 대해 설명해 드릴게요!
발음 부위에 따라서는 총 7가지로 분류가 돼요.
1. 쌍순음(双唇音) b, p, m
말 그대로 아랫입술과 윗입술이 붙었다가 떨어지면서 소리를 내는 것입니다.
2. 순치음(唇齿音) f
윗니가 아랫입술을 물었다 놓으면서 소리를 내는 것입니다.
이 발음은 영어 발음 f와 같다고 보시면 돼요!
3. 설첨전음(舌尖前音) z, c, s
혀끝이 윗니의 뒷면에 닿고, 기류를 밖으로 내뱉으며 소리를 내는 것입니다.
4. 설첨중음(舌尖中音) d, t, n, l
혀끝이 윗잇몸에 닿고, 기류를 막으면서 소리를 내는 것입니다.
기류를 막는다는 것이 어렵게 들릴 수도 있을 것 같은데, 쉽게 말해 설첨전음과 달리 기류를 안 내뱉으면 되는 거예요^^;
5. 설첨후음(舌尖后音) zh, ch, sh, r
이 발음은 '권설음(卷舌音)'이라고도 합니다. 해석하면 '혀를 말아서 내는 음'이죠.
이것이 한국인이 가장 어려워하는 발음이에요!!
혀를 말고(만다기보단.. 혀를 뒤로 당긴다는 느낌?..), 기류를 막으면서 소리를 내는 것입니다.
이때, 혀가 천장에 닿으면 안돼요~!
(으아, 아무래도 발음은 글로 설명하기가 힘들죠ㅠㅠ!! 안타깝다...)
6. 설면음(舌面音) j, q, x
혓바닥 앞부분이 경구개(입천장 앞쪽이 단단한 부분)에 닿거나 혹은 근접하고, 이때 기류가 막히면서 소리를 내는 것입니다.
7. 설근음(舌根音) g, k, h
말 그대로 혀뿌리! 혀뿌리가 융기하며 연구개(입천장 뒤쪽의 연한 부분)에 닿거나 혹은 근접하고, 이때 기류가 막히면서 소리를 내는 것입니다.
여기까지! 발음 부위에 따른 성모의 분류였습니다.
음.. 글로 읽으시니 잘 이해가 안 가고 그런가요??ㅠ_ㅠ
제가 뙇! 통쾌하게 설명해 드리지 못해 죄송할 따름입니다...
기회가 된다면, 그림이나 사진으로(..) 이해를 돕도록 할게요!
사실 위에 설명드린 내용들은 다 너무나 이론적인 얘기죠..
막상 실전 발음에선 언제 혀끝을 윗니에 닿고, 기류를 막고, 그러고 있겠어요~ㅋㅋㅋㅋㅋ
그렇지만, 이론을 알면 실전에 도움이 된다는 거!!
"아, 이 정도로, 이쯤에서, 이렇게 발음 되는구나~" 정도로만 알아주세요^.^
그럼, 다음 시간에는 '운모'에 대한 설명 갖고 찾아뵐게요~ :)
'중국어 입문 > 중국어 발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. 성모 뒤에 오는 짝꿍 '운모' (0) | 2020.10.15 |
---|---|
1. 중국어에 관한 간단한 설명 (0) | 2020.10.08 |
[중국어 발음] 게시판 설명 (0) | 2020.10.06 |